DNS 서버 변경방법을 알아보자!
이것저것..

DNS 서버 변경방법을 알아보자!

DNS(Domain Name Service) 서버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IP주소를 외워서 요청하기는 힘드므로 사람이 외우기쉬운 www.naver.com 과 같은 도메인네임을 아이피로 변환해주는 서버입니다.

해당 DNS 서버는 기본적으로 아무 설정을 해두지 않으면 자동으로 할당됩니다. 보통은 본인이 사용하는 ISP(통신사) 의 DNS 주소로 되어 있습니다. 구글에 관련된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경우에, 구글 DNS 서버로 변경을 해주면, 해당서비스에 좀더 빠르고 원활한 이용이 가능합니다. DNS 감시를 우회하는 용도로도 구글 DNS를 설정합니다.  


먼저 제어판을 들어갑니다.  이렇게 안뜨시는 분들은 오른쪽 상단의 보기기준 을 눌러 작은아이콘으로 바꿔줍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눌러줍니다.


그다음 어댑터 설정 변경을 눌러줍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노트북이라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이고, 랜선은 꼽지 않아서 끊겨 있는 상태입니다.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둘다 하셔도되고, 무선만 바꿔주고 싶으신 분들은 무선만 바꿔주시면됩니다. Wi-Fi 를 눌러 들어가줍니다.

속성을 눌러서 들어가줍니다.

IPv4를 누르고, 속성에 들어가줍니다.


8.8.8.8 과 8.8.4.4 의경우 구글의 DNS 서버입니다. 다른 DNS서버를 입력해 주셔도 상관없습니다. 입력후 확인을 눌러주면 설정이 끝납니다.





마지막으로 DNS 서버 목록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9%94%EC%9D%B8_%EB%84%A4%EC%9E%84_%EC%8B%9C%EC%8A%A4%ED%85%9C